을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 30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306개 세 글자:737개 네 글자:767개 다섯 글자:274개 여섯 글자 이상:473개 모든 글자:2,558개

  • : (1)‘샛별’의 방언
  • : (1)왕궁이 있는 도시. (2)왕도의 성. (3)한창 성함.
  • : (1)왕권을 상징하는 보배로운 구슬.
  • : (1)임금의 집안.
  • : (1)왕의 딸.
  • : (1)추녀나 박공 솟을각에 대는 삼각형으로 깎은 암키와. (2)‘왕겨’의 방언 (3)조선 초기에, 임금이 사품 이상의 문무관 벼슬아치에게 주던 사령(辭令). 세종 7년(1425)에 교지(敎旨)로 고쳤다.
  • : (1)황제의 아들이나 형제. (2)몸소 감.
  • : (1)중국 송나라 때의 무장(947~1016). 어려서부터 활쏘기를 잘해 사람들이 왕경궁(王硬弓)이라 하였다. 성격이 경솔하여 병사의 노고를 위로하거나 하지 않았다. 북방을 정벌하러 갈때 군량을 잃어 균주(均州)로 유배를 갔다.
  • : (1)갔다가 돌아옴.
  • : (1)임금의 말.
  • : (1)아직 가지 않음.
  • : (1)우리나라 고대 국가인 진(辰) 나라의 최고 지배자. 본디 그 동맹을 맺은 국가의 우두머리격인 목지국의 수장이 세습적으로 맡았다.
  • : (1)‘말매미’의 방언
  • : (1)조선 후기의 시인(?~?). 자는 보수(步廋). 호는 수리(數里). 시문에 뛰어나 윤행임의 추천으로 임금 앞에서 시를 짓기도 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조령별장에 이르렀다.
  • : (1)고조선의 장군(?~?). 한 무제의 군대가 침입해 왔을 때에 노인(路人)ㆍ참(參)ㆍ한음(韓陰) 등과 함께 항복하였다.
  • : (1)왕의 외척.
  • : (1)지나간 해.
  • : (1)왕도의 의의(意義). (2)의지를 굽힘.
  • : (1)크게 갈라지거나 터진 금.
  • : (1)휘어서 구부러짐. 또는 휘어 굽힘.
  • : (1)법에 맞지 아니하게 판결함. 또는 그런 판결.
  • : (1)가는 길.
  • : (1)발해의 마지막 왕(?~?). 성은 대(大). 이름은 인선(諲譔). 926년에 거란 태종에게 부여성에서 포위되어 항복했다. 재위 기간은 906~926년이다.
  • : (1)왕의 딸.
  • : (1)중국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의 화가(1287~1359). 자는 원장(元章). 호는 저석산농(煮石山農)ㆍ회계외사(會稽外史). 원나라 말기의 난을 피하여 그림 그리기에 전념하였으며, 죽석(竹石)과 묵매(墨梅)로 알려졌다.
  • : (1)여러 임금. (2)백대(百代)의 임금.
  • : (1)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현. 주민의 약 3분의 1이 조선족이며, 삼림이 풍부하여 임업이 활발하다. 일제 강점기에 항일 독립 전쟁의 근거지였다.
  • : (1)‘제안공’의 본명.
  • : (1)‘대방공’의 본명. (2)조선 시대에, 왕이나 왕세자의 일상복에 장식한 천. 붉은색의 원형 천에 금색 실로 수를 놓은 것으로 가슴, 등, 어깨 부분에 달았다.
  • : (1)고조선의 마지막 왕(?~?). 연나라에서 망명하여 온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쪽으로 가서 마한(馬韓)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 : (1)알이 굵은 밤.
  • : (1)사초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좁고 길다. 9~10월에 줄기 끝에서 꽃줄기가 나와 잔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줄기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질기고 강하여 돗자리, 방석 따위를 만드는 데 쓰인다. 한국, 일본, 열대ㆍ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왕골’이다. (2)남이 자기 있는 곳으로 찾아옴을 높여 이르는 말. (3)억눌려 굴복함.
  • : (1)중국 진나라의 서성(書聖)으로 알려진 왕희지와 그의 일곱째 아들 왕헌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금강신’을 달리 이르는 말. 천불의 법을 지키는 두 신이라는 데서 유래한다. (3)지금보다 이전. (4)이미 정하여진 사실로서 그렇게 된 바에. (5)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만큼의 시간적 길이. 또는 다시 만나거나 연락하기 이전의 일정한 기간 동안. (6)이제보다 전. (7)아미타의 본원(本願)에 의하여 극락에 쉽게 왕생하는 일.
  • : (1)이미 많은 세월이 지난 오래전 때. (2)‘바위’의 방언
  • : (1)귀가 먹먹할 정도로 크고 시끄럽게 떠들거나 우는 소리. (2)거침없이 기세 좋게 일하는 모양. (3)물이 끝없이 넓고 깊음. (4)눈에 눈물이 가득한 모양. (5)시간의 간격을 두고 이따금. (6)‘야옹야옹’의 방언 (7)‘우어우어’의 방언
  • : (1)여러 가지 꽃 가운데 왕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 : (1)물레의 바탕 위에 세우는 두 개의 기둥. 윗부분에 구멍이 뚫려 굴통을 끼우게 되어 있다.
  • : (1)여왕벌이 될 새끼를 기르기 위하여 꿀벌이 분비한 하얀 자양분의 액체. (2)중국 당나라의 시인ㆍ화가(699?~761?). 자는 마힐(摩詰). 벼슬은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이르렀고, 중국 자연시인의 대표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다. 작품에 시집 ≪왕우승집(王右丞集)≫이 있다. (3)가서 회유함. (4)‘진한공’의 본명.
  • : (1)임금이 종친이나 공신에게 논, 밭, 산판, 노비를 주거나 공이 있는 향리에게 부역을 면제하여 줄 때에 내리던 증명서. (2)왕도와 패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3)왕자(王者)와 패자(霸者)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경황’의 방언
  • : (1)‘바다’를 달리 이르는 말.
  • : (1)오고 감. (2)서로 사귀어 오고 가고 함.
  • : (1)갔다가 돌아옴.
  • : (1)국왕이나 왕족이 세움. 또는 그런 것.
  • : (1)무엇을 가지고 감.
  • : (1)‘금강신’을 달리 이르는 말.
  • : (1)‘방아깨비’의 방언
  • : (1)고려 제32대 왕(1365~1389). 공민왕의 아들로, 10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이성계에 의하여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1374~1388년이다. (2)‘우엉’의 방언
  • : (1)중국 춘추 시대 초(楚)나라의 왕(?~B.C.591). 이름은 여(侶). 춘추 오패(五霸)의 한 사람으로, 진(晉)나라 경공(景公)의 군대를 격파하고 중원(中原)의 패자(霸者)가 되었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614~기원전 591년이다.
  • : (1)왕권을 옹호ㆍ유지ㆍ확장하려는 당.
  • : (1)임금의 계책.
  • : (1)‘외양간’의 방언
  • : (1)임금의 손자 또는 후손. (2)‘엄지손’의 방언
  • : (1)‘왕릉’의 북한어.
  • : (1)갔다가 돌아옴.
  • : (1)중국 청나라의 문인화가(1632~1717). 자는 석곡(石谷). 호는 경연산인(耕煙散人)ㆍ청휘주인(淸暉主人). 남송과 북송의 화풍을 절충하여 우산파(虞山派)를 창시하였다.
  • : (1)가톨릭에서, 예전에 ‘요한’을 이르던 이름. (2)‘용왕’의 방언
  • : (1)중국 명나라 때의 학자(1483~1541). 자는 여지(汝止). 호는 심재(心齋). 왕양명의 제자로 일반 백성을 대상으로 학문을 강하던 태주학파(太州學派)를 이끌었다.
  • : (1)의사가 병원 밖의 환자가 있는 곳으로 가서 진료함. (2)중국 명나라 때의 환관(?~1449). 영종(英宗)의 환심을 사서 권력을 잡았다. 정통(正統) 14년(1449)에 몽골 오이라트부의 수령 에센이 침입하자 영종을 부추겨 함께 출전했다가 토목(土木) 전투에서 패해 영종은 붙잡히고 자신은 전사하였다.
  • : (1)마귀의 우두머리. (2)천마(天魔)의 왕. 정법(正法)을 해치고 중생이 불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3)슈베르트가 1815년에 괴테의 시에 곡을 붙여 만든 가곡. 아버지, 아들, 마왕, 해설자 따위의 각기 다른 목소리를 한 사람이 독창으로 엮어 나가는 극적인 기교가 있는 독창곡이다.
  • : (1)능소화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난다. 7월에 엷은 노란 꽃이 가지 끝에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가을에 길게 늘어져 익는다.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열매와 나무껍질은 한방에서 약재로 쓰인다. 중국이 원산지로 인가 근처에 재배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나라에 바치던 조세. (2)지난 지 꽤 오래된 시기를 막연히 이르는 말. (3)지나간 해.
  • : (1)중국 은나라의 초대 왕(?~?). 원래 이름은 이(履) 또는 대을(大乙). 박(亳)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상(商)이라 칭하였으며, 제도와 전례(典禮)를 정비하였다. 13년간 재위하였다.
  • : (1)노인의 몸에서 지린내 비슷하게 나는 독특한 냄새
  • : (1)저승에서, 지옥에 떨어지는 사람이 지은 생전의 선악을 심판하는 왕. 지옥에 살며 십팔 장관(十八將官)과 팔만 옥졸을 거느리고 저승을 다스린다. 불상(佛像)과 비슷하고 왼손에 사람의 머리를 붙인 깃발을 들고 물소를 탄 모습이었으나, 뒤에 중국 옷을 입고 노기를 띤 모습으로 바뀌었다.
  • : (1)사초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좁고 길다. 9~10월에 줄기 끝에서 꽃줄기가 나와 잔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줄기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질기고 강하여 돗자리, 방석 따위를 만드는 데 쓰인다. 한국, 일본, 열대ㆍ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 : (1)발해(渤海)의 제5대 왕(?~794). 성은 대(大). 이름은 화여(華與).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상경(上京)으로 옮겼다. 재위 기간은 793~794년이다. (2)중국 주나라의 제2대 왕(?~?). 이름은 송(誦). 어려서 즉위하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숙부 주공단(周公旦)이 섭정하였으나, 후에 소공(召公)ㆍ필공(畢公) 등의 보좌를 받아 주나라의 기초를 쌓았다. (3)한창 성함. (4)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5)백제의 제26대 왕(?~554). 이름은 명농(明穠). 538년 사비성(泗沘城)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고 하였다. 진흥왕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기자 554년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관산성(管山城) 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재위 기간은 523~554년이다. (6)프랑스 왕 ‘루이 구세’의 다른 이름. 덕(德)의 정치를 추구하여 사후에 로마 가톨릭교회로부터 성인으로 인정받았다.
  • : (1)의식 작용의 본체인 마음. 온갖 정신 작용의 주체가 되며, 객관 대상의 일반성을 인식한다.
  • : (1)따돌리는 일. 또는 따돌림을 당하는 사람.
  • : (1)현명하고 어진 임금.
  • : (1)임금의 자손. (2)‘한산후’의 본명.
  • : (1)이미 많은 세월이 지난 오래전 때.
  • : (1)중국 명나라 때에, 왕양명(王陽明)이 주창했던 새로운 유교 학설. 마음 밖에 사리(事理)가 따로 없으며 사람마다 양지(良知)를 타고났으나 물욕이 있는 탓에 성인과 범인(凡人)이 구별되는 것이므로 물욕의 장애를 물리칠 때 비로소 지행합일이 된다고 하였다.
  • : (1)진한 염산과 진한 질산을 3 대 1 정도의 비율로 혼합한 액체. 강한 산화제로, 산에 잘 녹지 않는 금과 백금 따위를 녹일 수 있다. (2)부당하게 잡아 가둠. (3)‘상안공’의 본명. (4)‘부여공’의 본명.
  • : (1)임금의 은혜.
  • : (1)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 : (1)지나간 자취.
  • : (1)같은 임금. (2)그 임금.
  • : (1)고려의 왕족(?~1170). 숙종(肅宗)과 명의 왕후(明懿王后) 유씨의 아들이다. 이자겸(李資謙)의 난 때 역모와 관련되었다는 죄명으로 유배되었다.
  • : (1)교미를 마치고 산란하기 시작하는 처녀왕.
  • : (1)백제 제12대 왕(?~346). 성품이 강직하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뛰어났다. 재위 기간은 344~346년이다.
  • : (1)임금의 덕행으로 감화하게 함. 또는 그런 감화.
  • : (1)선대의 임금. (2)옛날의 어진 임금. (3)발해의 제10대 왕(?~830). 성은 대(大). 이름은 인수(仁秀). 고구려 옛 땅의 대부분을 회복하고 중국 당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행정 구역을 개편하여 발해의 전성기를 이룩하였다. 재위 기간은 818~830년이다.
  • : (1)임금을 몰아냄. 또는 그 임금.
  • : (1)임금의 풍채와 태도. (2)왕궁이 있는 도시. (3)임금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4)어진 덕을 근본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도리. 유학(儒學)에서 이상으로 하는 정치사상이다. (5)어떤 어려운 일을 하기 위한 쉬운 방법. (6)중국 청나라의 학자ㆍ번역가ㆍ평론가(1828~1897?). 본명은 이빈(利賓). 자는 자전(紫詮). 호는 도원(弢園). 과학 기술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변법자강론(變法自彊論)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도원문록(弢園文錄)≫, 번역한 책에 ≪보법전기(普法戰記)≫가 있다. (7)정도(正道)를 굽혀 남에게 아첨함. (8)중국 동진(東晉) 때의 정치가(276~339). 사마예(司馬睿)를 도와 동진을 세우는 데 공을 세워 승상에 올랐다. 이후 명제(明帝)ㆍ성제(成帝)까지 승상을 지내며 제왕을 보필하였다. (9)‘조선공’의 본명.
  • : (1)특정한 운동선수나 연예인 등을 매우 좋아하는 사람.
  • : (1)‘말매미’의 방언
  • : (1)임금의 일가.
  • : (1)음력 정월을 달리 이르는 말.
  • : (1)용뇌향과의 상록 교목. 또는 그 재목. 높이는 4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육질(肉質)이다. 향기가 있는 큰 꽃이 피고 빛깔에 따라 백나왕, 적나왕 따위로 구별된다. 가구재, 건축재로 쓴다. 말레이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 : (1)오행(五行)에서, 땅의 기운이 왕성하다는 절기. 일 년에 네 번으로, 입춘ㆍ입하ㆍ입추ㆍ입동 전 각 18일 동안이다.
  • : (1)‘변한후’의 본명.
  • : (1)‘상왕’을 높여 이르는 말.
  • : (1)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인(177~217). 자는 중선(仲宣). 건안 칠자의 한 사람으로, 조조를 섬겼다. 작품에 <칠애시(七哀詩)>, <종군시(從軍詩)> 따위가 있다.
  • : (1)황제 또는 임금을 이르는 말.
  • : (1)‘왕골’의 방언
  • : (1)여자 임금. (2)어떤 영역에서 중심되는 위치에 있는 여자나 사물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아주 큰 감. (2)중국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의 화가(1598~1677). 자는 원조(元照)ㆍ원조(圓照). 호는 상벽(湘碧)ㆍ염향암주(染香庵主). 사왕오운의 한 사람으로, 명나라의 남종화계(南宗畫系) 오파(吳派)의 정통을 이어 청나라 회화의 터전을 닦았다. 작품에 <고수도(枯樹圖)>, 저서에 ≪염향암발화(染香庵跋畫)≫가 있다.
  • : (1)‘왕릉’의 북한어.
  • : (1)굵은 파.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왕으로 시작하는 단어 (899개) : 왕, 왕가, 왕가도, 왕가루, 왕가물, 왕가뭄, 왕가시나무, 왕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나무, 왕가위벌, 왕가위벌레, 왕가윤, 왕가의 계곡, 왕가하다, 왕간, 왕갈, 왕갈비, 왕갈비탕, 왕감, 왕갑년, 왕갓, 왕강, 왕강년, 왕강아지풀, 왕강충이, 왕개, 왕개구리, 왕개미, 왕개미 정자나무 흔드는 격, 왕개서어나무 ...
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8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왕을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30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